전남 도시재생 확대방안
-
1
도시재생형 지역상권재생 사업지원
- 시기 연중
- 내용 빈 상가(청년 희망상가) 활용 사업 모델 발굴을 위한 컨설팅 진행
-
2
도시재생 수익사업 모델지원
- 대상 도내 완료 사업지 중 연계사업 가능한 사업지
- 시기 2월 ~ 11월
- 내용 관광, 문화, 산업 등 지역자원 연계 수익사업 모델(안), 권역별 사업 확대 모델(안) 개발 및 시범사업 운영
전남형 전주기 통합관리 현장 지원
-
1
도시재생 사후관리 마스터플랜
- 대상 시·군 및 광역·기초·현장 도시재생지원센터 관계자, 유관기관 관계자 등
- 시기 3월 ~ 10월 예정
- 내용 사후관리 방안(안) 마련, 안정적 협력체계 구축, 연계 사업확대 방안(안) 마련, 연찬회 추진
-
2
도시재생 히스토리랩(LAB)
- 대상 도내 도시재생사업 대상지
- 시기 연중
- 내용 통일된 자체 평가관리 시스템 구축, 운영관리 해결방안 모색을 위한 체계 마련(전남 도시재생 정보 통합관리)
전남형 도시재생 역량제고
-
1
도시재생 솔루션 아카데미
- 대상 전남 시·군 도시재생지원센터 관계자, 마사협, 공무원, 마을활동가 등
- 시기 연 3회(4월 ~ 7월 예정)
- 내용 도시재생사업지별 관심분야 구체화를 통한 전문 교육 진행
-
2
도시재생 케어링 컨설팅
- 대상 사업지 중 컨설팅이 필요한 지자체·센터 및 마을 운영 조직
- 시기 연중
- 내용 도시재생사업지 운영조직을 위한 전문 컨설팅 지원
도시재생 소통창구 마련
-
1
센터 성과기록물 발간
- 시기 연 1회
- 내용 센터의 연간성과 및 주요사업 기록
(활동보고서 제작을 통한 사업 집중홍보/전남 광역센터 현황 및 24년도 추진실적 결과 발표)
-
2
전남 도시재생 홍보 플랫폼 운영
- 시기 상시
- 내용 SNS 활성화, 언론보도를 통한 사업 집중홍보
-
3
도시재생 박람회 참가지원
2025 도시재창조 한마당
- 대상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
- 시기 연 1회(미정)
- 내용 박람회 참가를 통한 전남 로컬콘텐츠 전시 및 우수사례 공유
2025 대한민국 도시혁신
산업박람회
- 대상 전국 지자체 및 유관기관, 기업 등
- 시기 연 1회(미정)
- 내용 지역특화 도시재생정책 및 관련 산업의 정보 공유와 교류